전남도, 2026년 예산안 12조7천23억…인구감소 대응 집중

  • 등록 2025.11.11 16:30:31
크게보기

‘AI 선도·민생안정·공동체 강화’ 등 4대 분야 전략적 투자

 

[ 중앙뉴스미디어 ] 전라남도가 2026년 예산안 규모를 12조 7천23억 원으로 확정, 11일 도 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12조 5천436억)보다 1천587억(1.3%) 늘어난 규모다.

 

일반회계는 4천965억(5.0%)이 증가한 10조 4천587억 원, 특별회계는 969억(8.5%)이 늘어난 1조 2천355억 원, 기금은 4천347억(△8.5%) 감소한 1조 81억 원이다.

 

전남도는 정부의 적극적 재정운영과 지방세수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예산안 편성 시 모든 재정사업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성과 없이 관행적으로 지원되던 사업, 유사·중복이나 집행 부진 사업 등에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구조조정으로 확보된 재원은 ‘OK! 지금은 전남시대’를 열기 위한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민생 회복과 성장 ▲인구감소·저출산 극복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등 4대 중점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반영사업은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분야의 경우 차세대 AI 산업의 변화를 이끌 ▲AI 기반 인력양성·스타트업 성장 지원 10억 ▲첨단로봇 AI 활용 중소기업 제조혁신 사업 8억 ▲대불국가산단 및 여수국가산단 AX(AI전환)실증 인프라 구축 7억 등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미래에너지·첨단 전략산업은 ▲에너지 분야 청년에너지 플러스사업 13억 ▲에너지기술공유대학 3억 ▲해상풍력기자재 공급망 구축 지원 2억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14억 ▲친환경 연료 화재폭발 안정성 평가 및 대응설비 개발 8억 등이다.

 

대한민국 우주항공 산업의 메카로 발돋음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업 기술자립 연계형 지역 성장 지원 10억 ▲국방 우주 반도체 전문인력양성 및 기술사업화 10억 ▲전남도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3억 등을 지원한다.

 

‘민생회복과 성장’ 분야는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안정을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이자 지원 등 155억 ▲소상공인 경영패키지 지원 2억을 반영하고, 상권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54억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50억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 17억 등을 활용한다.

 

농수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산물 안정생산 공급지원 57억 ▲전복산업 위기 극복 16억 ▲축사시설 현대화 33억을 반영하고 시군 간 균형발전과 자립적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133억 원을 지원한다.

 

‘인구감소·저출산 극복’ 분야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지역의 고질적 문제 해소를 위해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416억 원, 청년 역외 유출 방지와 더불어 살기좋은 전남을 만들기 위해 ▲청년 공공임대주택 건립 160억 ▲전남형 만원주택 건립 100억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44억 등으로 청년들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인 주거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저출산 대응 및 육아 여건 개선을 위해 ▲전남 출생기본수당 지급 142억 ▲난임 출산 시술 등 지원 21억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9억을 지원한다.

 

지역 청년 창업과 성장 지원을 위해 ▲전남 청년문화복지카드 114억 ▲전남 청년 희망기금 조성 10억 ▲청년사관학교 운영 27억 원도 반영했다.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분야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 복지 시책으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 확충 94억 ▲경로당 운영비 확대 32억 ▲어린이집 운영비 확대 20억을 지원한다.

 

지역맞춤형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글로컬대학 운영 및 RISE 사업 1천340억 ▲고등학교 무상교육 지원 15억 ▲지역인재 육성지원 사업 6억을 반영했다.

 

K-관광·문화 산업을 선도하고 전남도의 위상을 제고하고 위해 ▲2026 전남 섬 방문의 해 8억 ▲K-문학 페스티벌 5억을 지원한다.

 

국제행사인 여수세계섬박람회의 차질 없는 준비를 위해 ▲기본사업 32억, 확대사업 10개 사업 67억 원 이외 연계사업 27개 사업 53억 원을 추가 반영했다.

 

도민 안전·편의 증진을 위해 ▲지방도 정비사업 1천100억 ▲지방하천 정비사업 991억 ▲전남형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8억 등을 반영했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방세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도민에게 필요한 예산을 적재적소에 담기 위해 노력했다”며 “내년 예산이 도민 삶에 잘 스며들도록 관리 감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가 제출한 2026년 예산안은 제395회 전남도의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

고광표 기자 janmedia@naver.com
저작권자 ©중앙뉴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40번길 20, 402호 / 대표전화: 031-871-0113 | 제보 및 문의: 010-2382-0112 제호 : 중앙뉴스미디어 | 등록번호 : 경기 아 51849 | 등록일 : 2018-04-30 | 발행일 : 2018-04-30 | 발행인 : 이미예 | 편집인 : 고광표 | 청소년보호담당자 : 이미예 중앙뉴스미디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8 중앙뉴스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anmedi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