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뉴스미디어 ]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위원장 성창용)는 지난 10일, 부산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에서 ‘부산 신발산업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경기 민감도가 큰 지역 주력산업인 신발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고부가가치 실현을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트렉스타, 보스산업, 나노텍세라믹스, 튜브락, 태리제화, 플롯, 이지미, 바라크 등 지역 대표 신발기업 관계자들과 연구기관, 부산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성창용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신발산업은 단지 전통산업이 아닌, 부산을 대표하는 고용과 수출 기반 산업”이라며 “오늘 제안된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제도 개선과 예산 반영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간담회에서 제기된 연구개발(R&D) 지원, 자체 브랜드 육성 필요성 등에 대해 “의회 차원에서 조례 제정 등 실질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김태효 의원은 “간담회가 단순한 형식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져야 한다”며 “부산시는 한정된 재원으로 나누는 방식보다는, 업계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분야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업종 안에서도 기업마다 요구가 다르다”며, “종·횡 네트워크를 형성해 소통하고, 그 다음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중묵 의원은 “현장에 와보니 생각보다 상황이 더 심각하다”며 “기업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행정이 신발산업 관련 지원 정책을 제대로 수행했는지 성찰이 필요하다”며 “시의회는 제도 개선과 규칙 정비를 통해 기업의 불편을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에 참석한 신발기업 대표들은 원자재 가격 급등, 국내외 판로 확보 어려움, 브랜드 경쟁력 부족 등 다양한 현실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R&D와 마케팅 지원이 현장에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기업마다 처한 상황과 수요가 다른 만큼, 업계 내부의 소통과 협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한편 시의회는 간담회에서 논의된 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향후 예산 편성과 정책 수립에 반영해 나갈 방침이다.
[뉴스출처 : 부산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