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앙뉴스미디어 ] 제주의 돌문화와 신화, 유배의 역사를 현대 예술로 재해석하는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제주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주관하는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 사전 컨퍼런스’가 15일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섬의 기억과 감각 - 돌, 신화, 유배'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제주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예술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며 다가오는 비엔날레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컨퍼런스 1부에서는 ‘돌문화’, ‘신화’, ‘유배’ 세 분야의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돌문화’ 분야에서는 김종일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가 ‘북방 유라시아의 거석 기념물과 제주도의 돌문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인류 문명 초기부터 이어져 온 ‘돌’이라는 물질의 상징성과 문화적 의미를 설명하고, 제주도의 고인돌이 북방 유라시아 거석문화와 연결되면서도 독자적으로 발전한 과정을 소개했다.
‘신화’분야에서는 김순이 제주문학관 명예관장이 ‘제주 신화와 함께’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명예관장은 섬이라는 공간적 특성이 빚어낸 제주 신화가 지역 주민들의 우주관, 운명관, 생사관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설명하며, 육지에서 사라진 신화의 원형이 제주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점을 강조했다.
‘유배’ 분야에서는 최열 미술사학자가 ‘제주의 추사’에 대해 발표했다. 최 미술사학자는 추사 김정희의 제주 유배 시절을 조명하며, 제주라는 독특한 자연환경과 역사적 맥락이 그의 서예와 그림 속에서 어떻게 예술적 변화를 이끌었는지 설명했다.
컨퍼런스 2부에서는 발표자 전원이 참여한 원탁토론이 이어졌다.
홍경한 미술평론가의 진행 아래, 발표자들이 함께 제주의 역사적·문화적 맥락이 현대 예술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주제별로 전광중 제주대학교 명예교수(돌문화 부분), 제주대학교 강사인 강소전 문학박사(신화 부분), 양진건 명예교수(유배 부분)가 지정질의를 통해 토론의 깊이를 더했다. 이 과정에서 제주의 지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아우르는 예술적 접근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공유됐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 관장은 “이번 사전 컨퍼런스는 제주라는 섬이 가진 독특한 자연과 역사, 신화적 이야기를 예술적 관점으로 조명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각 분야의 전문가와 예술인, 도민이 함께 모여 다양한 시각을 공유한 만큼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의 성공적인 준비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는 지역성과 보편성을 아우르는 새로운 예술 담론의 장으로 2026년 8월 개막한다.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가 ‘표류’를 매개로 남방 해양문명의 교차를 조명한 데 이어,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는 제주 문명의 또 다른 축인 북방의 길을 따라 이어진 문명의 변용과 제주와 북방문화의 필연적 연결, 융합의 과정을 예술의 언어로 살펴볼 계획이다.
[뉴스출처 : 제주도]









